| 나에게 일이란 |
어차피 해야 하는 일이라면 끌려가듯 하지 않으려고 해요. 앞으로 일에 대한 정의는 뾰족하게 내릴 수는 없지만, 내가 생각하는 일의 형태는 변하지 않을 것 같아요. 세모든, 슬라임 모양이든 [서비스나 프로덕트를 통한 비즈니스 가치를 실현시키는]을 하고 있어요. 프로덕트 안에서 나는 화면을 그리며, 디스크립션을 기본으로 데이터를 보고 문제 정의를 하고 있어요.
| 일에 대한 기록 |
근속연수가 짧은 사람들을 비난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들의 맥락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이는 시대의 흐름에 뒤처진 생각이에요. [연차 = 전문성?]
어차피 직무상 매일 다른 BM, 도메인, 방법론 안에서 움직여야 해요. 오히려 오래된 연차에서 나오는 정답지가 아니라 𝐅𝐚𝐬𝐭 𝐫𝐮𝐧𝐧𝐞𝐫 자세가 곧 전문성이라고 생각해요.
어제의 다른 조직에서의 정답이 불확실한 오늘에선 정답이 아닐 수 있어요. 그 조직만의 시행착오에서 도출한 정답이 진정한 정답이에요.

| 일에 대한 맛 |
동시에 일에 대한 재미를 느껴야 해요. 강압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이거 예상외로 할 만한데?” “가보자고!”라는 생각으로 의욕을 느끼는 것이 일에 대한 나의 만족도예요. 일에 대해 대부분 '누구와 일하는 게 좋으냐?'라고 얘기하는데 사실 나는 ‘어느 시간, 공간에서 일하는 맛이 나느냐?’가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이렇게 글을 쓰다 보니 알게 된 사실은, 일에 대한 기록은 결국 나 자신을 제대로 마주하게 만든다는 거예요.
✿ 성취 요소 / 실패 요소
(나의 에너지를 주는 공간? 에너지 뱀파이어 공간?)
- 액션 아이템/결론 안 나오는 회의
- 남는 거 없이 무의미하게 보내야 하는 시간들
- 프로젝트 병목
✿ 어느 타임, 공간에서 일할 때 좋은지?
- 오전에 brain power가 가장 강할 때
- 4-5시, 거의 퇴근 2시간 전은 정말 힘들어요.
- 오전에 패스트파이브 서울숲에서 햇볕 아래에서
✿ 누구와 함께 일할 때 좋았는지?
✿ 누구와 어떻게 일하고 싶은지?
이 두 가지 질문은 스스로 오랫동안 고찰해봐야겠어요.
'술담화와 삶'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트성수 챌린지로 보는 우리나라 drinking culture. 주류 산업과 bar 사장들의 생존과 상생 (0) | 2025.04.03 |
---|---|
피트 위스키 입문(2) | Arran Machrie Moor | 아란 마크리무어 & Talisker 10년 (0) | 2025.04.01 |
피트 위스키 입문(1) 탈리스커 저리가라! 피트 위스키 입문은 일리악 Ileach Cask Strength (0) | 2025.04.01 |
아드벡 제품라인 시음 후기 (2) | 아드벡 안오 | 아드벡 10년 (0) | 2025.03.31 |
아드벡 제품 라인 시음 후기 (1)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