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테크 field 에서 보고 느낀 것들/E-Commerce

(4)
이커머스 플랫폼 분석 (3) Shopee 셀러 경험으로 본 크로스보더 이커머스의 진짜 모습 이커머스 플랫폼을 기획하고 바라볼 때는 일반 구매 사용자군만 바라보면 안됩니다. 생태계에서는 셀러라는 이해관계자가 있어야 상품이 등록되고, 사용자가 상품을 구매하기 때문입니다.     (1) 브랜드와 차별된 ‘경쟁력을 갖춘’ 상품 소싱의 문제 이미 동남아 시장에 포화상태인 K-뷰티 브랜드들을 이길 순 없었습니다.인디 브랜드를 발굴할까 싶어서 검색해 보면 이미 입점한 상태였고, 다른 셀러들도 팔고 있는데, ’출혈 가격 경쟁’ 을 펼치기엔 마진이 안남고요. ‘저걸 다른 셀러도 팔고 있을텐데 내가 어떻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지?’ 고민해서 여러 시도를 했지만 판매 1건이 발생되기 어려웠습니다. 아래와 같은 디테일한 부분을 셋팅했지만, 고객들이 직접 샵 페이지에 organic 하게 방문하게 만드는게 어렵더군요 ..
이커머스 플랫폼 분석 (1) | 동남아 이커머스 쇼피는 어떻게 상품 소싱을 하는가? 쇼피코리아에서 물건이 판매될 때, 판매자는 재고 확보를 크게 2가지로 할 수 있습니다.   #1 사입 제조사,도매업체 혹은 소매업체로부터 판매할 제품을 미리 구매하고 재고를 보유한상태에서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주문접수 후 빠른대응재고보유로 안정적으로 물건을 공급할수 있음주문량에 대한 물량 컨트롤이 수월함 단점 재고 부담 위험이 있음 (유통기한이슈,제품변형,재고손실등)재고보유를 해야 되기 때문에 창고 등의 공간이 필요함 초기 판매할 제품에 대한 자금이 필요위탁에 비해 판매제품 종류가 한정적 일 수 있음  #2 드롭쉬핑 고객의 주문이 들어오면 공급처에 주문을 해 재고 없이 상품을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재고 부담 및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음 - 재고를 보유하지 않기 때문에 창고 등의 공간이 필..
이커머스 플랫폼 분석 (2) | 커머스 플랫폼은 어떻게 정의내려야할까? 플랫폼이란? 이 글에서 정의하는 플랫폼 기획은 1) 단순한 소비자 (수요자) 가 아닌, 여러 player (공급자) 들이 포함되는 생태계 2) 오프라인이 아닌 온라인에서 일어나는 거래(결제액션)를 포함해야한다. 패션 커머스에서는 상품을 구매하는 유저(앱사용자)(오픈마켓 형태라면) 셀러(판매자), 사입하는 패션 MD 등 다양하다. 배민과 같은 커머스는 배달을 시키는 사람(앱사용자), 라이더 (배달하는자), 음식을 만드는 사람(자영업자) 등 기획할 때 각각의 이해관계자를 고려해야한다. 커머스 생태계는 왜 이해해야할까 어떤 디지털 서비스라도 커머스의 생태계는 분석할수록 좋다.서비스 growth 의 고객 여정을 짤때도 온라인 결제 앞뒤로 이커머스 프레임워크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커머스..
이커머스 플랫폼 분석 (3) | 이커머스 생태계에서 망하지 않은 회사가 있다고? 웹 빌더를 넘어 브랜드와 성장과 상생을 꿈꾸는 카페24, 아임웹 D2C 자사몰 서비스 톺아보기 아임웹, 쇼퍼파이, 네이버 스토어 처럼 기존에 쇼핑몰 운영 솔루션과 비교했을 때,1. 가장 인지도가 높고, 2. 커스터마이징하는 자유도가 가장 높은 솔루션인 카페 24는 요즘 참 잘나가고 있다. 구글의 투자를 받을 정도이니 말이다. 유튜브의 성장, 크리에이터 영향력 확대 / 유튜브 커머스 협업 강화  ▲카페24를 이용하는 브랜드와 순이엔티 소속 크리에이터 간 연결 체계 구축▲유튜브 쇼핑을 포함한 소셜미디어 콘텐츠 기반 이커머스 활성화 지원▲브랜드 매출 확장을 위한 신규 소셜커머스 진출 지원▲ 200여 명의 전속 크리에이터를 바탕으로 광고, 매니지먼트, 커머스, 해외사업 등을 접목한 숏폼 비즈니스 24년 6월 세계 최초 유튜브 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 출시중소형사업자, 크리에이터(인플루언서), 대형 기업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