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37)
[AI] AI 스타트업에 재직했을 때, AI PM 이 일반 PM 보다 신경써야할 지점은? (1) AI, AI, AI 에 뜨거운 관심글에 시작하기에 앞서, 나는 AI 스타트업에 재직한 경험이 있다. 꽤 기술집약적인 도메인으로 딥테크 기반 기업인데, 요즘 오픈소스 끌어다 쓰는 수준은 아니였다. 내재된 리서처와 음성 데이터 수집을 위해 직접 사람들의 음성을 스튜디오에서 녹음하기도 했던 곳이다. (월급이 밀려 오래 못다녔지만, 입사하면서 준비한 것들을 내려써본다. ) AI는 당시 2022년에는 생소한 기술이라 주목을 받았지만, 이제는 성능과 품질을 논하는 stage 로 AI 는 발전했다. 시장에 나온 AI 서비스로 다들 AI 음성 인식, 검색은 경험을 해봤기 때문에 훨씬 높은 수준의 다양한 고객 니즈를 맞춰야한다.  나는 음성합성 기술쪽이였기 때문에 언어모델 (LLM) AI Agent 를 수강하다가 문득,..
글로벌 시장을 타깃할 때 고려할 것들, UX 외에도 기술적으로 어떤 챌린지가 있을까? 글을 작성하기에 앞서항상 유학 경험은 있지만, 직접적으로 서비스 기획한 적이 없기에 research 해본 국내 운영사들의 전략을 정리한 글이다.또한 유학하면서 서비스를 런칭하고, 인턴생활을 하면서 글로벌 서비스들을 사용해보고 만든 사람들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지 써봤다. 특히, 영상 기술, 채팅 기술이 결합된 아자르나 라이브 커머스 서비스들은 어떤 고민을 하고 있을까? LINE, Hyperconnect, Triple, 딜라이트룸 (여행, 물류 도메인) 서비스 블로그를 탐색하며글로벌 전략은 막막하다. 나라면 국내에서 성공한 운영사들을 탐색하는 것으로 시작할 것이다. 1) 문화를 고려해서 현지화 전략을 짜야한다. 아랍권(Middle East and North Africa) 같은 경우, 한국어의 텍스트 읽..
이커머스 플랫폼 분석 (3) | 이커머스 생태계에서 망하지 않은 회사가 있다고? 웹 빌더를 넘어 브랜드와 성장과 상생을 꿈꾸는 카페24, 아임웹 D2C 자사몰 서비스 톺아보기 아임웹, 쇼퍼파이, 네이버 스토어 처럼 기존에 쇼핑몰 운영 솔루션과 비교했을 때,1. 가장 인지도가 높고, 2. 커스터마이징하는 자유도가 가장 높은 솔루션인 카페 24는 요즘 참 잘나가고 있다. 구글의 투자를 받을 정도이니 말이다. 유튜브의 성장, 크리에이터 영향력 확대 / 유튜브 커머스 협업 강화  ▲카페24를 이용하는 브랜드와 순이엔티 소속 크리에이터 간 연결 체계 구축▲유튜브 쇼핑을 포함한 소셜미디어 콘텐츠 기반 이커머스 활성화 지원▲브랜드 매출 확장을 위한 신규 소셜커머스 진출 지원▲ 200여 명의 전속 크리에이터를 바탕으로 광고, 매니지먼트, 커머스, 해외사업 등을 접목한 숏폼 비즈니스 24년 6월 세계 최초 유튜브 쇼핑 전용 스토어 기능 출시중소형사업자, 크리에이터(인플루언서), 대형 기업까지..
문제해결력이란 뭘까?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월간 회고] 직업인으로써 당신을 움직이게 하는 것 2 ✿  당신에게는 당연하지만, 다른 사람에겐 당연하지 않은것? What is one thing about design that is obvious to you that is not obvious to other people? 저에게 가장 명확하지만 다른 사람들에게는 그렇지 않은 것은 '디자인'이라는 단어의 확장성이에요. 많은 사람들이 디자인을 웹이나 앱, 혹은 시각적 요소에만 국한시키곤 하죠. 하지만 디자인은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 존재해요."삶을 디자인하다." "질문을 디자인하다." 이런 표현들이 단순한 수사가 아니라는 점을 깨달았을 때 제 세계관이 크게 확장되었어요. 특히 어떤 언어를 택해서 질문을 디자인하느냐의 문제는 그 사람의 세계관을 보여줘요. 질문 수립, 워딩 디자인은 요즘 말하는 framing..
스타벅스는 리워드 서비스를 어떻게 활용하는가? 최근 구독 서비스를 오픈한 스타벅스. 스타벅스는 자체 앱서비스에서 딜리버리 기능을 운영하기도 하고, 배달의 민족에서 또한 딜리버리를 운영하고 있다. 스타벅스가 커피숍 장사지 모바일 서비스를 만드는 테크회사는 아니라고 생각해서 서비스 퀄리티를 경시했다.왠걸? 각잡고 분석해보니 꽤 디테일하게 사용성을 설계했다. 1. 리워드를 통해 등급별로 쿠폰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번에 런칭한 buddy pass!'리워드' 는 서비스 시장에 다양하게 활용된다. 오퍼월 혹은 미션형 게이미피케이션, M2E 서비스에서는 '리텐션' 을 목적으로 유저가 주기적으로 앱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무료 포인트 받기를 누르면 광고를 노출하고 광고 수익의 일부로 사용자는 포인트를 얻는다. 모바일에서 걷기 데이터가 자동으로 수..
커리어 노마드, UX 디자이저, 프로덕트 매니저로 그리고 다음은 어디로? 커리어 여행기 회고 [#CH.1 : Careerpath? Careerjourney.]배달의 민족에서 커리어 워크숍에서 만난 PPT 를 보고 떠오르는 나의 커리어 여정기. 커리어 path 라고 하면 단방향으로 나아가는 일직선을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근데 저의 커리어 하나의 길보다는 journey 에 가까웠어요. 유럽 여행에서 기차 티켓하나 끊고, 여기저기 떠돌아다니는 것처럼. 명확한 목표는 항상 있었는데,마치 이탈리아 다음? 프랑스! 로 찍어뒀지만, 기차를 잘못탄 나머지 예상치 못한 도착지에 떨어지기도 했네요. 단순히 회사만 바꾼게 아니라 job title 도 다양했고, 회사의 사업형태도 다양했었던 듯 합니다. 국내 취직을 원하지 않았기 때문에 외국에서 취직할 땐, (한국에만 존재하는 직무) "서비스 기획자" 가..
[북 리뷰] <프리워커스> 일의 방식에 질문을 던진다. | 나에게 일이란 |어차피 해야 하는 일이라면 끌려가듯 하지 않으려고 해요. 앞으로 일에 대한 정의는 뾰족하게 내릴 수는 없지만, 내가 생각하는 일의 형태는 변하지 않을 것 같아요. 세모든, 슬라임 모양이든 [서비스나 프로덕트를 통한 비즈니스 가치를 실현시키는]을 하고 있어요. 프로덕트 안에서 나는 화면을 그리며, 디스크립션을 기본으로 데이터를 보고 문제 정의를 하고 있어요.| 일에 대한 기록 |근속연수가 짧은 사람들을 비난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그들의 맥락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이는 시대의 흐름에 뒤처진 생각이에요. [연차 = 전문성?] 어차피 직무상 매일 다른 BM, 도메인, 방법론 안에서 움직여야 해요. 오히려 오래된 연차에서 나오는 정답지가 아니라 𝐅𝐚𝐬𝐭 𝐫𝐮𝐧𝐧𝐞𝐫 자세가 곧..